Page 15 - 2023 에코힐링_가을호(40호)_최종 단면
P. 15
참가자가 집중하는 모습에서 뜨거운 열의가 느껴졌다. Mini Interview
한편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첫 시간이었다. 크라우드 펀딩의 개념부터 살펴보며 앞 한국생태문화협동조합 대표 이은숙
으로 진행할 프로젝트의 큰 그림을 그려보는 것이 목 Q 한국생태문화협동조합은 어떤 곳인가요?
적이었다. 비대면 산림복지서비스 체험 키트 등 다양한 A 경상북도환경연수원의 숲해설가·교육전문가
아이템을 꿈꿔볼 수 있었다. 이제 막 걸음마를 뗐지만
산림복지에 대한 열정과 끈끈한 네트워킹을 통해 가시 양성과정을 시작으로 1~3기 핵심 멤버들이
적인 성과들을 만들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모여 설립한 협동조합이며 현재 사회적기업
으로 운영 중입니다. 숲해설업과 유아숲지도
재무회계 강의 진행 모습 업에서 더 나아가 앞으로는 산림관광산업으
로 다변화를 꾀하고자 합니다.
Q 이전에도 경영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으신가요?
A 예비사회적기업이었던 지난 3년 동안 단발적
인 컨설팅의 경험은 있지만, 이번 경영자 아
카데미처럼 심도 있는 교육은 처음입니다. 평
소 전문업 대표님들과 소통하며 많은 고충을
나눠왔는데요. 특히 경영 측면에서 도움이 절
실했던 게 사실입니다. 이번 교육에 큰 기대
를 품고 있어요.
Q 산림복지전문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
A 대부분 위탁사업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
우가 많은데요. 이 때문에 이윤 창출 부분에
서는 부족함이 많습니다. 기업을 건실히 운영
하기 위해 앞으로는 다변화가 필수적이에요.
1년에 한 번 전문업 대표님들이 모이는 ‘네트
워크데이’가 열리는데, 이 자리에서 다양한 고
민과 아이디어가 오가곤 합니다.
Q 함께하는 참가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으
시다면?
A 모 두 ‘동무’라는 마음으로 동질감을 느껴요.
힘든 점에는 공감하고, 헤쳐나갈 부분에는 응
원을 보내며 함께 성장하고 싶습니다. 어려운
순간도 많겠지만 우리의 신념을 잃지 말고 변
함없이 양질의 산림복지 문화를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