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2023 에코힐링_가을호(40호)_최종 단면
P. 34

초록 에세이

               산림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장애학생 사회성 증진의 작은 기적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박충희 주임

숲은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즐거운 놀이터다. 사회적으로 단절되고 소외된 장애학생에게는 더욱 즐거운 놀이터가 될 수 있다. 한국산림복지
진흥원이 운영하는 「정다운 숲교실」 산림교육프로그램 체험을 통해 장애학생의 사회성 증진에 미친 긍정적 효과를 소개한다.

특수교육에 대한 관심이 향하다                                       ● 그림 1. 특수교육대상자 증가 현황       103,695명

현재 우리나라는 특수교육과 관련한 서비스 확대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                                95,420명             2022년
가 ’18년 90,780명에서 ’20년 95,420명, ’22년 103,695명으로 증가하였다.  90,780명
교육부 자료1)에 따르면 특수교육과 보건복지 연계로 파생된 장애학생의 복
지일자리 또한 ’22년 770명에서 ’23년 820명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만큼 사회적으로 장애 및 특수교육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
고,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장애학생은 우
울, 불안, 사회적 미성숙, 문제행동 등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와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2)

                                                       2018년  2020년

                                숲으로 향하는 특수교육

청소년 대상 산림복지프로그램 진행 모습(국립산림치유원)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순조로운 사회진입을 위한 노력으로 체육활동,
                                공예활동, 과학놀이, 음악치료 등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를 확인한 연구
                                들이 많이 선행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체험은 장애아동의 정서발달 및 사회적 유
                                대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다면 숲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산림복지(산림교육)서비스는 장애
                                학생에게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일상에서 벗어나 숲의 자연물을 활
                                용한 놀이와 교육이 장애학생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 긍정
                                적인 영향을 주는 중재 활동이 될 수 있으나, 산림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산림교육프로그램 체험이 장애아동의 문
                                제행동, 정서지능 및 숲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교육부, 2023, 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2) 이재욱과 최영준, 2016, 특수체육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사이언스 34(1): 101-109.

   3 4 ECO HEALING 2023 AUTUMN VOL_40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