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37호) 에코힐링 겨울호_단면
P. 18
초록 리포트
그림 3. 항산화 지수와 면역기능 강화의 관계
세포조직 손상으로 항산화 활성 높은
생활 스트레스 자연치유력
인한 만성 임산물, 약용식물
잘못된 식습관 강화
염증 유발 활용 치유음식
면역력 저하 산화적 스트레스 치유음식 섭취 면역력 강화
개발된 산림치유식단의 건강기능성 규명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 임산물 10종을 선정하여 산림치유음식을 개발하고 표준화 식단 10종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건강기능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산림치유음식의 객관적 정보를 마련하고
자 하였다.
기능성(항산화성) 분석에 따른 치유음식지수(HFI)
건강기능성 규명 결과
식단 명 주재료 조리 전 조리 후
치유음식지수 치유음식지수 치유 효능
① 면역 강화 식단 버섯 4단계(18,162HFI) 4단계(14,461HFI) 면역 증진
② 혈관 정화 식단 두메부추 4단계(10,144HFI) 3단계(7,705HFI) 체질 개선
③ 배변 개선 식단 취나물 4단계(14,604HFI) 3단계(8,855HFI) 체질 개선
④ 항노화 식단 오디 4단계(17,617HFI) 4단계(10,435HFI) 면역 증진
⑤ 항염증 식단 대추 4단계(13,707HFI) 3단계(8,140HFI) 체질 개선
⑥ 불면증 개선 식단 곤드레 4단계(25,517HFI) 4단계(18,403HFI) 면역 증진
⑦ 위장 강화 식단 마 4단계(28,906HFI) 4단계(25,611HFI) 면역 증진
⑧ 혈액순환 개선 식단 두릅 4단계(15,911HFI) 4단계(13,086HFI) 면역 증진
⑨ 체질 개선 식단 당귀 4단계(11,423HFI) 4단계(11,172HFI) 면역 증진
⑩ 다이어트 식단 고사리 4단계(28,730HFI) 4단계(14,183HFI) 면역 증진
치유음식지수(HFI) 분류기준으로 표준화식단 10종의 항산화 활성 능력을 비교해보았을 때 ‘마를 이용한 위
장강화식단’이 제일 높았고, ‘두메부추를 활용한 혈관정화식단’이 제일 낮았다. 또한 조리 전 식단이 조리 후
식단보다 치유음식지수가 높은데, 이는 조리과정에서 가열에 의한 영양소 파괴 및 항산화 활성 능력 감소
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ECO HEALING 2022 WINTER VOL_37 18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