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37호) 에코힐링 겨울호_단면
P. 41

겨우살이 새싹










                                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는 것과 달리 기생식물은                (Thunb.) Engl.)와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
                                살아있는 식물에 기생합니다. 일부 기생식물은 숙               이(Loranthus tanakae Franch. & Sav.), 참나무겨우
                                주식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공기나 토양에서                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ex Maxim.) Danser)
                                숙주의 뿌리나 싹이 내뿜는 휘발성 화학물질을 감               의 총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지한다고 하고 가장 큰 교목 기생식물인 호주의 크              이 중 황해도 이남에 분포하며 수령이 오래된 참나
                                리스마스나무는 다른 식물의 뿌리를 찾아 100m               무속이나 팽나무속, 밤나무속, 오리나무속, 배나무
                                까지도 뿌리를 보낸다고 하니 식물의 능력은 늘 놀              속 등의 줄기에 기생하는 겨우살이가 가장 대표적

                                랍습니다. 기생식물은 약 20과 4,500여 종이 알려           입니다. 겨우살이는 멀리서 보면 둥근 형태의 초록
                                져 있으며 속씨식물의 1%에 달합니다.                    덩어리들이 나뭇가지에 붙어있는 모양 때문에 많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겨우살이류는 단항목에 속                 은  사람들이 새둥지라 생각하고 지나가기도 합니
                                하는 현화식물로 겨우살이과의 겨우살이(Viscum              다. 주로 참나무류 등의 큰 키 나무의 윗부분에 자
                                album L. var. lutescens Makino), 붉은겨우살이  라서 자세히 관찰하거나 사진찍기가 쉽지 않지만
                                (Viscum album L. f. rubroauranticum (Makino)   가끔은 아래쪽 가지에 자리를 잡아 모델을 자처하
                                Kitag.),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는 겨우살이들을 만나기도 하고 땅에 떨어져 있는



                                                                                                       40ㅣ 41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