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37호) 에코힐링 겨울호_단면
P. 43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또 다른 겨우살이류로는
            동백나무겨우살이가 있는데 겨우살이류가 40-
            60cm, 때로는 1m까지도 크게 자라는 반면 동백나
            무 겨우살이는 5~30cm 정도로 매우 작은 것이 특
            징입니다. 또한 줄기는 마디형태로 연결되고 퇴화
            된 잎이 마디 끝에 돌기처럼 달려있어 언뜻 보면
            선인장같기도 합니다. 전남 목포 및 제주도, 남해

            난대림에서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겨우살
            이와 유사하나 열매가 노란색이 아닌 붉은색(사실
            은 진한 주홍색)으로 익는 붉은겨우살이도 있습니
            다. 붉은겨우살이는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꼬리겨우살이는 유일한 낙엽성의 겨우살이로 겨
            울에는 잎이 없이 노란 열매만 수상화서 꼬리처럼
            길게 달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참나무겨우살이는

            제주도 서귀포 바닷가 주변에 분포하며 주로 삼나
            무에 기생하나 왕벚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에             붉은겨우살이(좌)와 겨우살이(우) 열매




                                                                         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동백나무를 닮은 잎이 특
                                                                         징적이고 폭죽을 연상시키는 꽃이 인상적입니다.
                                                                         최근에는 참나무겨우살이는 기주식물에 따라 항
                                                                         염증, 항암활성 성분의 차이를 보인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하였습니다.



                                                                         서양에서 겨우살이는 잎이 겨울에도 나뭇가지 위
                                                                         에 남아 녹색을 띠며 생명력을 과시했기 때문에 인
                                                                         간의 풍요한 생식을 기원하는 의식에 중요한 역할
                                                                         을 했고 지금도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사용하고 있
                                                                         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겨우살이는 한약재로 유명
                                                                         한데 전체를 말려 약으로 쓰며 항암을 포함한 여러

                                                                         증상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인간에게 매우 유용
                                                                         한 식물인거죠. 그러나 이 때문에 무분별하게 채집
                                                                         되어 급속히 개체수가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다
                                                                         행히 최근에 매실나무와 같은 관목 유실수에서 약
                                                                         용으로 쓸 겨우살이를 재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
                                                                         다고 하니, 이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겨우살이를
                                                                         더 많은 자생지에서 만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꼬리겨우살이의 열매


                                                                                                       42ㅣ 43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